Deploy2 외부에서 로컬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(2. Ngrok으로 로컬에서 서버 실행) Ngrok을 이용해 로컬에서 서버 실행하기 Ngrok? 네트워크 설정을 하지 않아도, 방화벽을 넘어 **외부에서 로컬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터널링 프로그램** Ngrok 설치 Ngrok 공식 페이지에서 OS에 맞게 설치를 진행합니다. 무료로 사용 가능하지만 연결 세션이 약 2시간 정도 유지 가능하다 Ngrok 실행 # 원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하여 연결 ngrok http [port] 8080번 포트로 포워딩하는 임시 도메인과, 해당 연결의 세션 지속시간 등의 정보가 확인 가능하다. 프로젝트 실행 확인 포워딩한 임시 도메인을 핸드폰으로 들어가도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!! 이제 다른 사람의 로컬 컴퓨터나 다른 기기로도 내 로컬 환경에 접근할 수 있다. 2022. 10. 22. 외부에서 로컬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(1. Tomcat으로 수동 배포) 외부에서 로컬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단계 1. Tomcat으로 수동 배포를 한다. 2. ngrok을 사용해 터너링으로 서버를 실행한다. WAR를 사용하는 이유? JAR는 자바 프로젝트를 압축한 파일로 JRE만 있어도 실행이 가능하다. 반면에 WAR는 웹 관련 자료를 포함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을 압축한 파일이다. 별도의 웹 서버가 필요하고, JAR보다 더 넓은 범위를 압축할 수 있다. 따라서, WAR로 패키징하면 다양한 설정과 웹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사전 설치 1. JRE 설치 (Windows) 다운로드 링크에서 JRE를 설치 2. 환경변수 설정 (Windows) 변수 이름 : JRE_HOME 변수 값 : C:\Program Files\Zulu\zulu-11-jre 3. 톰.. 2022. 10. 22. 이전 1 다음 728x90